장 조르주 노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조르주 노베르는 18세기 발레를 개혁한 스위스 출신의 무용가이다. 그는 16세에 파리 오페라 코믹 극장에서 데뷔하여 안무가로 활동했으며, 저서 《무용과 발레에 관한 편지》를 통해 발레를 자연으로 돌리고 춤을 극적인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언극 기법을 발레에 도입하여 발레 닥시옹을 창시했으며, 의상 개혁에도 힘썼다. 런던, 유럽 각지를 순회 공연하며 마리아 테레지아, 마리 앙투아네트의 무용 교사로 활동했고, 파리 오페라 발레의 메트르 드 발레를 역임했다. 그의 이론은 19세기 고전 발레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알케스테》, 《야손과 메데이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남자 발레 무용수 - 마리우스 프티파
마리우스 프티파는 19세기 후반 러시아 발레 발전에 크게 기여한 프랑스 출신 발레 무용가이자 안무가이며, 42년간 약 54편의 신작 발레와 17편의 개정 발레를 포함한 많은 작품을 안무하여 클래식 발레를 확립하고 오늘날까지 사랑받는 걸작들을 남겼다. - 프랑스의 남자 무용가 - 마리우스 프티파
마리우스 프티파는 19세기 후반 러시아 발레 발전에 크게 기여한 프랑스 출신 발레 무용가이자 안무가이며, 42년간 약 54편의 신작 발레와 17편의 개정 발레를 포함한 많은 작품을 안무하여 클래식 발레를 확립하고 오늘날까지 사랑받는 걸작들을 남겼다. - 1810년 사망 - 요한 빌헬름 리터
요한 빌헬름 리터는 자외선 발견 및 전기화학 분야에 기여한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로, 낭만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여러 과학적 업적을 남겼으나 난해한 논문 스타일로 당대에는 인정받지 못했다. - 1810년 사망 - 안도 노부나리
안도 노부나리는 에도 시대 이와키다이라 번의 2대 번주이자 막부의 로주를 지낸 무장으로, 가문 계승 후 막부 정치에 참여하며 번교를 창설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다.
장 조르주 노베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27년 4월 29일 |
사망일 | 1810년 10월 19일 |
사망 장소 | 생-제르맹-앙-레, 프랑스 |
직업 | 무용가 |
경력 | |
이전 그룹 | 파리 오페라 발레단 |
2. 생애
1760년 리옹에서 발행된 노베르의 저서 《무용과 발레에 관한 편지》는 무용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2] 이 책에서 그는 발레를 자연으로 되돌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모든 인습을 타파하고 발레가 춤출 수 있는 드라마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무언극의 기법을 발레에 처음으로 도입하여 발레 닥시옹의 창시자가 되었다.[2]
노베르는 자신의 이론을 실천에 옮겨, 당시 형식화된 움직임을 배척하고 의상 개혁에도 큰 의욕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급진적인 이론 때문에 오페라 극장의 안무가 지위는 얻지 못하고, 런던을 시작으로 유럽 각지를 순회 공연했다. 빈에서 여왕 마리아 테레지아에게 고용되었고, 이후 프랑스 왕비가 된 그녀의 딸 마리 앙투아네트의 무용 교사가 되면서 1775년에 마침내 오페라 극장의 안무가가 되었다.[2]
1776년 봄, 노베르는 발레 공연을 위해 빈으로 갔지만, 같은 해 6월 다시 파리로 돌아와 프랑스 혁명으로 인해 빈곤에 빠질 때까지 오페라 발레의 지위를 유지했다. 1781년 오페라 발레를 떠난 후 영국으로 망명했지만, 긴 방랑 생활 끝에 프랑스로 돌아와 1810년 11월 19일 생제르맹앙레에서 사망했다.[2]
노베르의 친구로는 볼테르, 모차르트, 프리드리히 2세, 그리고 그를 "무용계의 셰익스피어"라고 불렀던 배우 데이비드 개릭 등이 있었다.[2] 그의 발레 작품 중 가장 찬란한 업적을 남긴 것은 『비너스의 화장실』, 『후궁의 질투』, 『고집 센 해적』, 『라이벌 없는 질투』 등이다.[2]
서간으로는 『새로운 오페라 공간 건설에 관한 소견』(1781년), 『볼테르에게 보낸 개릭에 관한 편지』(1801년), 『광고 전단에 관한 예술가에게 보낸 편지』(1801년) 등을 저술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경력
파리 태생의 스위스인 장 조르주 노베르는 16세 때 파리의 오페라 코믹 극장에 데뷔하였고, 20세에는 이미 안무가가 되었다.[2] 1743년 퐁텐블로의 오페라 코미크 극장에서 처음으로 무용을 선보였으며, 1745년에는 프리드리히 2세의 궁정 발레단에 초빙되어 2년간 후원을 받았다. 1747년에는 오페라 코미크를 위해 첫 발레 작품을 제작하여 안무가로서 첫 성공을 거두었다.[2] 1748년에는 프로이센의 왕자 헨리에 의해 베를린으로 초청되었지만, 스트라스부르로 가서 1750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2]1757년부터 1760년까지 리옹에서 여러 발레 작품을 안무하고, 1760년에는 그의 저서 《무용과 발레에 관한 편지》(Lettres sur la danse et les ballets)를 출판했다. 이 책에서 그는 발레를 자연으로, 즉 고전적인 미의 이상으로 환원시키고 모든 인습을 타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발레는 춤출 수 있는 드라마여야 하며, 무언극의 기법을 발레에 도입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발레 닥시옹의 창시자로 여겨진다.[2]
이후 뷔르템베르크 공작 카를-외겐의 후원을 받아 슈투트가르트에 머물렀고, 1760년부터 1766년까지 궁정의 메트르 드 발레(무용 감독)를 역임했다. 그 후 빈에서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와 1774년까지 계약을 맺고 황녀들의 무용 교사도 맡았다.[2]
2. 2. 주요 활동 및 개혁
1760년 리옹에서 발행된 노베르의 저서 《무용과 발레에 관한 편지》는 무용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책에서 그는 발레를 자연으로 되돌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모든 인습을 타파하고 발레가 춤출 수 있는 드라마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무언극의 기법을 발레에 처음으로 도입하여 발레 닥시옹의 창시자가 되었다.[2]노베르는 자신의 이론을 실천에 옮겨, 당시 형식화된 움직임을 배척하고 의상 개혁에도 큰 의욕을 보였다. 그는 ''갈라테아의 변덕(Les Caprices de Galathée)''과 같은 작품에서 무용수들에게 호피 무늬 옷과 나무껍질로 만든 신발을 입히는 등 의상에 대한 자연주의적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프랑스 계몽주의의 선두에 서게 했다.[3]
그러나 이러한 급진적인 이론 때문에 오페라 극장의 안무가 지위는 얻지 못하고, 런던을 시작으로 유럽 각지를 순회 공연했다. 빈에서 여왕 마리아 테레지아에게 고용되었고, 이후 프랑스 왕비가 된 그녀의 딸 마리 앙투아네트의 무용 교사가 되면서 1775년에 마침내 오페라 극장의 안무가가 되었다.[2]
1774년 루이 15세가 사망하고 마리 앙투아네트가 프랑스의 왕비가 되자, 노베르는 파리 오페라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779년 도베르발, 막시밀리앵 가르델, 므와젤 기마르 등의 모함으로 직위에서 물러났고, 1781년까지 오페라를 떠나지 않았다.[2]
노베르가 파리 발레계에 미친 영향은 1763년 그의 비극 발레 ''야손과 메데이아(Jason et Médée)''의 제작으로 보존되었다. 1787년 피에르 가르델이 왕위와 파리 오페라를 계승하여 의상에 대한 노베르의 생각과 발레 팬토마임에 대한 그의 사상을 실행했다.[3]
2. 3. 영향 및 평가
노베르는 18세기 발레를 개혁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저서 《무용과 발레에 관한 편지》(1760)는 발레 이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발레를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으로 되돌려야 하며, 인습을 타파하고 극적인 드라마를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무언극을 중시하고 발레 닥시옹을 창시하는 결과로 이어졌다.[5]노베르는 장-필립 라모, 데이비드 개릭, 마리 살레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다. 특히 마리 살레는 표현적인 제스처와 춤 동작을 결합하여 이야기를 전달하는 안무를 선보였으며, 의상과 무대 장면을 재구성하여 발레에 혁명을 일으켰다. 노베르는 살레의 이러한 혁신적인 시도에서 영감을 받아 가면을 없애고 의상을 개혁하는 등 발레 개혁을 이끌었다.[5]
당시 남성 중심 사회에서 여성 무용수의 역할은 제한적이었지만, 살레는 자신의 작품을 무대에 올리고 공연하는 장벽을 허물었다. 노베르의 혁신적인 작품은 살레의 업적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6]
노베르의 친구로는 볼테르, 모차르트, 프리드리히 2세, 그리고 그를 "무용계의 셰익스피어"라고 불렀던 배우 데이비드 개릭 등이 있다.
장 조르주 노베르 사후 200주기를 기념하여 그의 전기, 무용, 공연 등 여러 측면을 탐구하는 두 차례의 학술 회의가 개최되었다.
첫 번째 회의는 "장 조르주 노베르(1727-1810) 기념: 그의 세계, 그리고 그 너머"라는 제목으로 2010년 4월 16일부터 17일까지 옥스퍼드 뉴 칼리지에서 열린 제11회 옥스퍼드 무용 심포지엄이었다.
두 번째 회의는 "노베르 사후 200주년 기념 국제 콜로퀴움"으로 2010년 10월 21일(목), 22일(금), 23일(토)에 열렸다.
3. 《무용과 발레에 관한 편지》
노베르는 1760년 프랑스의 리옹에서 《무용과 발레에 관한 편지》를 발행했다. 이 책은 무용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편지 형식으로 쓰여진 논문에서 그의 이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노베르는 발레를 자연, 즉 고전적인 아름다움의 이상으로 되돌리고 모든 인습을 타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발레는 춤출 수 있는 드라마여야 하며, 드라마의 법칙이 발레에도 적용되어야 하고, 춤은 극적인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무언극을 중요시하는 연극으로 이어져, 그는 무언극 기법을 발레에 처음 도입하여 발레 닥시옹(ballet d'action)의 창시자가 되었다.[4]
그는 자신의 이론을 실천하여 당시 형식화된 움직임을 배척하고 의상 개혁에도 힘썼다. 그러나 급진적인 이론 때문에 오페라 극장의 안무가 지위는 얻지 못했다.
3. 1. 배경 및 영감
노베르는 1756년 런던에서 무용과 극장에 관한 글을 쓰고 1760년 프랑스 리옹에서 출판했다. 그는 드러리 레인 런던의 극장 로열에서 데이비드 가릭의 지휘 아래 자신의 무용단을 위한 안무를 맡았고, 가릭의 서재에서 현대 프랑스 문학과 고대 라틴어의 무언극에 관한 논문을 읽었다. 노베르는 무언극에서 영감을 받아, 발레는 극적인 움직임을 통해 전개되어야 하며, 그 움직임은 등장인물 간의 관계를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유형의 발레를 액션 발레(ballet d’action) 또는 무언극 발레라고 불렀다.[4]노베르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은 장-필립 라모, 데이비드 개릭, 마리 살레였다. 노베르는 라모의 춤 음악, 특히 프로그램적인 요소와 강한 개성이 결합된 음악에서 영감을 받았다. 또한, 노베르는 데이비드 개릭의 "연기력"과 생생한 무언극 연기에 영감을 받았다.[4]
마리 살레는 파리 오페라 발레에서 노베르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인물이다. 살레는 파리에서 프랑수아즈 프레보에게서 수업을 받았으며, 프레보는 기교 넘치는 연기와 표현력 있는 공연을 통해 발레를 극적으로 연출한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5] 살레는 1727년 파리 오페라에 데뷔하여 "섬세한 우아함과 표현력 있는 무언극" 능력으로 명성을 얻었다.[5]
살레는 1734-35년 런던 오페라 시즌 동안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과 협력했고, 그녀의 팬토마임은 노베르의 발레 다끄시옹의 전조가 되었다.[6] 1741년 공개 무대에서 은퇴했지만, 1743년 오페라 코미크에서 안무 혁신과 지도를 통해 계속해서 무용계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노베르가 데뷔한 시기와 일치한다.[5]
당시 사회는 "남성 중심 사회"였기 때문에, 살레는 주로 연기자로서의 중요성에 국한되어 인정을 받았다. 그녀의 창의적인 안무가이자 진보적인 혁신가로서의 역할은 그녀 생전에 무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무용사 학자들에 의해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살레는 표현적인 제스처와 춤 동작을 결합하여 이야기를 전달한 피그말리온 안무 작품을 통해 노베르가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살레는 예술적인 춤 동작, 음악에 맞춘 표현적인 제스처의 사용, 독창적인 방식으로 의상과 무대 장면을 재구성함으로써 발레에 혁명을 일으켰고, 무용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5] 노베르는 살레의 영향을 받아 가면을 생략하고 의상을 재구성하는 등의 개혁을 추진했다.
3. 2. 주요 내용
노베르는 18세기에 발레를 새로운 시대의 예술로 개혁한 인물이다. 1760년 프랑스 리옹에서 발행한 저서 《무용과 발레에 관한 편지》는 무용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책에서 그는 발레를 자연, 즉 고전적인 아름다움의 이상으로 되돌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위해 모든 인습을 타파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한 발레는 춤출 수 있는 드라마여야 하며, 드라마의 법칙이 발레에도 적용되어야 하고, 발레에서의 춤은 극적인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수단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무언극을 중요시하여 춤추는 연극이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졌고, 그는 무언극 기법을 발레에 처음으로 도입하여 발레 닥시옹(ballet d'action)의 창시자가 되었다.[4]그는 자신의 이론을 실천에 옮겨 당시 형식화된 움직임을 배척하고 의상 개혁에도 힘썼다. 그러나 이러한 급진적인 이론 때문에 오페라 극장의 안무가 지위를 얻지 못하고 런던을 시작으로 유럽 각지를 순회 공연했다. 이후 빈에서 여왕 마리아 테레지아에게 고용되고, 그녀의 딸 마리 앙투아네트의 무용 교사가 되면서 1775년에 마침내 오페라 극장의 안무가가 될 수 있었다. 노베르가 주창한 발레 닥시옹 이론은 19세기 고전 발레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노베르는 그의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7가지 주요 점을 다루었다.
번호 | 내용 |
---|---|
1 | 무용수 훈련과 관련하여 피에르 보샹(Pierre Beauchamp) 등이 제시한 무용 기법의 정확성을 개인의 신체 구조에 대한 감수성과 함께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2 | 무용수의 개성과 스타일을 고려하는 교육학적 관점은 예술적 발전의 전제 조건이다. |
3 | 극적인 맥락에서 몸짓 표현의 타당성과 진정성이 발레를 창조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4 | 줄거리는 주제적으로 움직임과 통합되어야 하며, 불필요한 독무와 관련 없는 무용 기법은 발레에서 생략되어야 한다. |
5 | 음악이 줄거리의 극적인 전개에 적절하게 맞춰야 한다고 단호하게 주장했다. |
6 | 의상, 장식, 조명이 발레 내 각 장면의 도입, 줄거리 및 절정과 호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7 | 자신의 발레에서 가면이 사라짐에 따라 가면 뒤에 숨는 것이 아니라 무용수의 표현이 드러날 수 있도록 하는 무용수의 무대 분장에 대한 자신의 진보적인 생각을 발표했다. |
3. 3. 영향
1760년 리옹에서 발행된 노베르의 저서 《무용과 발레에 관한 편지》는 무용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책에서 노베르는 발레를 자연, 즉 고전적인 미의 이상으로 되돌려야 한다고 주장하며 모든 인습을 타파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발레가 춤출 수 있는 드라마여야 하며, 드라마의 법칙이 발레에도 적용되어야 하고, 춤은 극적인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무언극을 중요시하는 연극이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이어져, 그는 무언극 기법을 발레에 처음 도입하고 발레 닥시옹의 창시자가 되었다.[7]노베르는 자신의 이론을 실천하여 당시 형식화된 움직임을 배척하고 의상 개혁에도 힘썼다. 그의 저술은 파리 오페라 발레 특유의 억압적인 전통, 예를 들어 전형적이고 무거운 의상, 구식 음악 스타일과 안무 등을 종식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학생들이 자신의 재능을 활용하도록 격려하는 등 무용수 훈련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특히 파리 오페라 발레[7]의 가면 사용을 비판했는데, 가면이 무용수의 얼굴 표정을 제한하여 캐릭터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막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는 9번째 편지에서 "가면을 없애면 우리는 영혼을 얻고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무용수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베르는 그의 논문에서 7가지 주요 점을 제시했다.
번호 | 내용 |
---|---|
1 | 무용수 훈련과 관련하여 피에르 보샹 등이 제시한 무용 기법의 정확성을 개인의 신체 구조에 대한 감수성과 함께 유지해야 한다. |
2 | 무용수의 개성과 스타일을 고려하는 교육학적 관점은 예술적 발전의 전제 조건이다. |
3 | 극적인 맥락에서 몸짓 표현의 타당성과 진정성이 발레를 창조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 |
4 | 줄거리의 논리적인 전개를 요구했다. 줄거리는 주제적으로 움직임과 통합되어야 하며, 불필요한 독무와 관련 없는 무용 기법은 생략되어야 한다. |
5 | 음악이 줄거리의 극적인 전개에 적절하게 맞춰야 한다. |
6 | 의상, 장식, 조명이 발레 내 각 장면의 도입, 줄거리 및 절정과 호환되어야 한다. |
7 | 자신의 발레에서 가면이 사라짐에 따라 무용수의 표현이 드러날 수 있도록 하는 무대 분장에 대한 자신의 진보적인 생각을 발표했다. |
『춤과 발레에 관한 서한』은 거의 모든 유럽 언어로 출판되었고, 그의 이름은 무용 문헌에서 가장 자주 인용되는 이름 중 하나가 되었다. 그의 이론 중 상당수는 오늘날의 무용 수업에도 적용되며, 교사가 학생들이 자신의 재능을 활용하도록 격려해야 한다는 생각은 현재 무용 이념의 일부이다. 비록 당대 저명한 발레 무용수들에게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그의 이론은 그의 발레 작품들보다 더 오래 살아남았다.
4. 주요 작품
제목 | 초연 장소 | 초연 연도 | 음악가 |
---|---|---|---|
중국 축제(Les Fêtes Chinoises) | 파리 | 1754 | 장-필립 라모 |
라 퐁텐 드 주브낭스(La Fontaine de jouvence) | 파리 | 1754 | |
비너스의 세면(La Toilette de Vénus) | 리옹 | 1757 | 프랑수아 그라네 |
감정의 즉흥곡(L'Impromptu du sentiment) | 리옹 | 1758 | |
아약스의 죽음(La Mort d'Ajax) | 리옹 | 1758 | 프랑수아 그라네 |
알케스테 | 슈투트가르트 | 1761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 |
헤라클레스의 죽음(La Mort d'Hercule) | 슈투트가르트 | 1762 | |
프시케와 아모르(Psyché et l'Amour) | 슈투트가르트 | 1762 | 장-조제프 로돌프 |
야손과 메데이아(Jason et Médée) | 슈투트가르트 | 1763 | 장-조제프 로돌프 |
히페르므네스트레(Hypermnestre) | 슈투트가르트 | 1764 | |
디아네와 엔디미온(Diane et Endymion) | 빈 | 1770 | |
가마체의 결혼식에서의 돈키호테(Don Chisciotte, alle nozze di Gamace) | 빈 | 1772 | 안토니오 살리에리 |
파리스의 심판(Le Judgement de Pâris) | 빈 | 1771 | |
로제와 브라다만테(Roger et Bradamante) | 빈 | 1771 | |
복수하는 아가멤논(Agamemnon vengé) | 빈 | 1772 | |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아(Iphigénie en Tauride) | 빈 | 1772 |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룩 |
테세우스(Thésée) | 빈 | 1772 | |
아키스와 갈라테아(Acis et Galathée) | 빈 | 1773 | |
퐁티외의 아델(Adèle de Ponthieu) | 빈 | 1773 | |
알렉산드로스와 캄파스페(Alexandre et Campaspe de Larisse) | 빈 | 1773 | |
호라티우스 형제와 쿠리아티우스 형제(Les Horaces et les Curiaces) | 빈 | 1774 | |
레노와 아르미드(Renaud et Armide) | 밀라노 | 1775 | |
아펠레스와 캄파스페(Apelle et Campaspe) | 파리 | 1776 | |
갈라테아의 변덕(Les Caprices de Galatée) | 파리 | 1776 | |
아네트와 뤼뱅(Annette et Lubin) | 파리 | 1778 | |
작은 사소한 것들(Les petits riens) | 파리 | 1778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아이네이아스와 디도의 사랑(Les Amours d'Énée et de Didon) | 리옹 | 1781 | |
세라이의 축제(La Fête du Sérail) | 파리 | 1788 | |
사랑과 프시케(L'Amour et Psyché) | 런던 | 1788 | 장-조제프 로돌프 |
템페의 축제(La Fête de Tempé) | 런던 | 1788 | |
아드메토스(Admète) | 런던 | 1789 | |
알프스의 양치기(La Bergère des Alpes) | 런던 | 1794 | |
승리(La Vittoria) | 런던 | 1794 | |
윈저 성(Windsor Castle) | 런던 | 1795 |
참조
[1]
백과사전
Noverre, Jean Georges
[2]
서적
The Ballet of the Enlightenment: The Establishment of the Ballet D'action in France, 1770–1793
Dance
1996
[3]
논문
2007
[4]
백과사전
Noverre, Jean-Geor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1-14
[5]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D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6]
서적
Women's Work Making Dance in Europe before 1800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7
[7]
웹사이트
The story under doona covers
http://www.parisoper[...]
[8]
백과사전
Jean-Georges Noverre French choreographer and dancer
https://www.britanni[...]
[9]
문서
起承転結を持つ演劇的な筋立てに沿って上演される舞踊劇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